사업분야

환경설비·기계설비·산업플랜트 | SIGMA Technology

환경부문 - 소각/대기방지시설

소각시설

폐기물 및 고형(액상)연료를 연소시켜 감량화 및 안정화를 위한 시설입니다.
당사는 고객의 요구조건에 맞도록 설계 및 형상개선화를 통하여 높은 내구성 및 연소효율의 극대화를 이루기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스토커식 소각로(Stoker)

  • 소각로 타입 중 가장 널리 쓰이고 있으며 여러 가지 타입의 화격자의 이동을 통하여 폐기물을 교반, 연소, 배출이 원활하도록 하는 이동상소각로의 대표적인 형식입니다.
    화격자 구조, 작동방식, 이동방향 및 방법 등에 따르는 수많은 형상이 있습니다.

로타리킬른식 소각로(Rotary Kiln)

  • 점성폐기물, 고발열량의 유해폐기물에 탁월한 능력을 발휘하며, 원통형의 로체를 회전시키면서 건조 및 연소를 시키는 형식입니다.
    교반효과가 상당히 우수하고 여러 형상의 폐기물을 동시에 소화가 가능하나 연소공기의 효율적 공급문제와 로체의 방산열로 인하여 열효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유동상식 소각로(Fluid Bed)

  • 모래와 같은 내열매체를 충전하여 고온의 공기를 불어넣어 유동층을 형성시켜 순간적으로 건조 및 연소시키는 형식입니다.
    일반적인 화상소각로에서 어려운 난연성 폐기물 소각에 적합하며 노내에 기계적인 부분이 적어 유지관리가 용이하지만, 전처리문제와 유동매체의 분리 및 재공급의 문제를 가지고 있습니다.

대기방지시설

여러 가지 산업공정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안정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시설입니다.
당사는 고객 사용상의 편의성과 운영비 절감을 위하여 대안설계 및 부분혼합적용으로 고객이 만족할 수 있도록 끊임없는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원심력집진기(Cyclone)

  • 비교적 입자가 굵고 비중이 있는 입자에 선회운동을 주어 입자에 원심력을 부여하여 가스로부터 입자를 분리 침강하는 장치입니다.
    유입가스의 속도는 빠를수록 효율이 높아지기는 하나 압력손실이 커지게 됨으로 적정범위내에서 설계를 하게 되며, 가스량이 많을때는 단일싸이클론 내부원리의 형태를 여러개 사용하는 멀티 싸이클론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여과집진기(Bag filter)

  • 함진가스에 포함된 입자를 필터(Filter)를 통하여 여과시키는 원리이며, 여과표면이 큰것을 이용하여 Filter media 표층에서 여러 분말과의 반응을 기대할수 있고, 높은 집진효율을 기대할수 있는 장치입니다.
    가스의 성상에 따라서 내화학성의 특성을 가진 여과포(Filter)도 있으므로 다방면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건식반응탑(Dry Reactor)

  • 주로 산성가스 제거를 목적으로 사용되며 충분한 체류시간과 난류극대화를 유도시켜 중화반응을 유도하는 장치입니다.
    효율이 다소 낮지만 기계적 장치가 거의 없어 초기 제거장치로 충분합니다. 산성가스 농도에 따라 필요성이 판단됩니다.

습식세정탑(Wet Reactor;Scrubber)

  • 습식세정탑부분 내용수정유해배기가스를 흡수 및 중화반응시키는 원리로서 온도를 낮출수 있고, 중화반응으로 배기가스를 안정적 처리할수 있으며 효율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공정상으로 폐수를 유발하게 되며 독립적으로 사용되기보다는 폐수를 처리할 수 있는 공정에서 다중적으로 이용합니다.

반건식반응탑(Semi-Dry Reactor)

  • SDR(SDA)로 많이 알려져 있으며, 건식과 습식의 장단점을 보완하여 건식과 습식사이의 우수한 효율을 얻을 수 있는 설비입니다.
    마찬가지를 중화반응을 하며 소량의 흡착반응을 기대할수 있는 장점을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폐수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2차 오염물질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흡착탑

  • 가스중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여러 가지 흡착제를 사용하여 흡착시키는 방법으로서 불순물의 제거, 습기, 냄새 제거 등에 쓰입니다.
    유기물 흡착으로 활성탄을 이용한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활성탄 이외에도, 산성백토, 실리카겔, 제오라이트 등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흡착제를 통과하는 양에 따라 효율이 나타나고 동일 규격사용시 흡착제의 선정 또한 매우 중요한 과제입니다.